본문 바로가기

클래식. 가곡

드뷔시 / 두개의 아라베스크

 

 

 

 

Deux Arabesques for Piano , L.66

드뷔시 / 두개의 아라베스크

C. Achille Debussy 1862∼1918

Philippe Entremont, Piano

드뷔시의 <두개의 아라베스크>

1888년 드뷔시가 최초로 발표한 피아노곡인 <아라베스크 1, 2번>은 드뷔시의 초기 작품에 해당한다. 1번은 아름다운 아르페지오의 상쾌하고 환상적인 표현과 로맨틱한 매력이 곡 전체에 흐른다. 2번은 마스네의 영향이 느껴지지만, 생기있고 약동하는 듯한 흐름을 보여준다. 아라베스크는 '아라비아풍'이라는 뜻으로 아라비아 건축의 미술적 장식을 가리키는데, 음악상으로는 환상적인, 장식적인 성격을 가진 소곡의 표제로 사용되었다.

 아라베스크 제1번(Arabesque No. 1 in E major) 4/4박자

아라베스크 1번 (Andantino con molto) 4/4박자로 피아노에 의한 아름다운 아르페지오가 상쾌하고 명쾌하게 '반복'되면서 환상적인 연주를 들려준다. 또한 산뜻하고 우아한 표현에 의한 로맨틱한 매력이 곡 전체에 흘러 꿈꾸는 듯한 아름다움이 연주된다. 무엇보다도 악곡의 모두에서부터 펼쳐지는 상쾌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관능적이기까지한 아르페지오가 반복되는데 그 매력은 잊을 수 없는 것이다. 주선율도 대단히 감미롭다. '프랑스적 취미'라는 말을 흔히 쓰는데, 이 곡에서 바로 그러한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1. Andantino con molto
Philippe Entremont, Piano

아라베스크 제2번(Arabesque No. 2 in E minor) 4/4박자.

제1번과 같이 마스네의 영향이 느껴지지만 제1곡이 하나의 정서를 가지고 있는데 대해 제2곡은 싱싱하게 약동하는 세계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셋잇단음표와 8분음표의 구성이 리듬의 최소단위가 되어 반복되고 섬세한 운동이 되어서 흐르지만 다시 이 곡에는 드뷔시가 기도한 기법상의 새로운 변화를 시도한다. 고전적인 화성법에 있어서는 병행 화음의 진행은 3도나 6도에서 허용되고 병행 5도에 의한 진행은 엄중하게 금지되었는데 33마디에서 부터 이 병행 5도 진행의 사용에 의해서 드뷔시는 전통적인 화성의 기능적 성격을 파괴하고, 화음 하나하나가 전체적인 연결 속에 각개의 역활이나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음의 울림 그 자체로 되있다. 이 수법은 드뷔시의 음악 어법의 하나가 되었으며 다른 혁신적인 기법과 더불어 점차 독특한 드뷔시의 원숙한 경지로 발전해 간 것이다.


2. Allegretto Scherzando
Philippe Entremont, Piano

아라베스크 (Arabesque)

아라비아식의 라는 뜻. 미술 용어로는 이슬람미술에서 광범위하게 볼 수 있는 곡선적 장식무늬를 말한다. 특히 덩굴과 같은 식물이 뒤얽힌 모양을 아름답게 도안하여 나타낸 당초무늬[唐草紋(당초문)]를 가리키는데, 넓은 뜻으로는 복잡하게 이어지는 기하학 도형, 무늬화된 아라비아문자도 포함된다. 또 이슬람미술에 한정하지 않고 곡선이 많은 환상적 장식무늬 또는 사람의 형상이나 새와 짐승 등을 도안하여 그로테스크한 무늬로 구성한 것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 말은 다른 예술장르에도 도입되었으며 음악에서는 악상을 환상적·장식적으로 전개하는 작품 제목에 사용되었는데, R.A. 슈만의 피아노소품 《아라베스크 다장조(작품18, 1839)》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밖에 C.A. 드뷔시의 피아노곡 《두개의 아라베스크(1888)》 마장조·사장조와 F. 딜리어스의 오케스트라 반주 합창곡 《아라베스크(1911)》 등이 있다. 발레용어로는 한 발로 서서 한 팔은 앞으로, 다른 팔다리를 뒤로 뻗은 포즈를 가리킨다.

드뷔시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프랑스 인상주의 작곡가. 생 제르맹 출생. 도자기상의 아들로 태어나 파리에서 음악교육을 받았다. 파리음악원 재학시절 그는 솔페주부문(Solfege:階名唱法)·피아노부문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졸업하면서 로마대상을 받고, 수상자로서 2년간의 로마 체류 의무를 수행하면서 관현악곡 《봄》과 합창곡 《선택받은 소녀》를 작곡하였는데, 《선택받은 소녀》는 1893년 파리에서 초연되어 호평을 받았다.

같은 해 겨울에 현악 4중주곡을, 이듬해 겨울에는 출세작인 관현악곡 《목신(牧神)의 오후》의 전주곡 등 걸작품을 계속 발표하였으며, 그 무렵까지의 몇 해 동안은 전에 열중했던 바그너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또한 모스크바 체재 중에 접했던 러시아음악과 무소르크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등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말라르메·루이스 등 상징파 시인들과 교제하였다.

앞에서 언급된 현악 4 중주곡 및 《목신의 오후》의 전주곡에서 《빌리터스의 노래》와 피아노 모음곡 《피아노를 위하여》, 관현악을 위한 《야상곡》을 거쳐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의 완성에서 초연에 이르는 10년간(1893∼1903)은 드뷔시에게 있어서 그의 개성적인 양식이 확립된 시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 그는 바로크시대부터 낭만주의시대까지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기능화성법에 의한 고전적 조성을 극복하고, 자기 나름의 개성적 음색과 율동구조를 확립, <인상주의 음악>의 길을 열었으며, 1905년 이후 그의 <인상주의 음악>은 더욱 원숙해져 갔다.

이 무렵 관현악곡 《바다》, 피아노곡집 《영상 1》 《영상 2》 《판화》가 작곡되었다. 그는 순수한 작곡가로서 자유롭게 작곡에만 전념하였으며, 인상주의 음악의 시조로서 근대음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외 그의 작품에는 피아노 모음곡 《어린이의 세계》, 관현악을 위한 《영상 3》, 피아노곡집 《전주곡집 1》, 《전주곡집 2》, 가곡집 《프랑스와 비용의 시에 의한 3개의 발라드》 발레곡 《유희》, 피아노곡으로 《12개의 연습곡》 《3개의 소나타》 등이 있다.

필립 앙트르몽 (Philippe Entremont, 1934.6.6~)

프랑스 룀 출생. 어려서부터 양친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뒤에 M.롱에게 사사하였다.

파리음악원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 1951년 롱 티보콩쿠르에서 우승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그로부터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다. 현재는 지휘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다니엘 바렌보임, 미하일 플레트네프, 정명훈,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필립 앙트르몽의 공통점은?... 피아니스트 출신 지휘자. 정확히 말해서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다. 건반 앞에서 지휘자 없이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은 기본이다. 피아니스트가 지휘자를 꿈꾸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피아노는 오케스트라의 축소판이기 때문이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 필립 앙트르몽은 나이가 들면서, 피아니스트로써 또한 지휘자로써, 더욱 더 완숙된 테크닉을 보여주면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어 마치전성기를 보고 있는 것만 같다. 2003년, 2004년엔 라벨의 피아노 작품 전곡을 녹음하여 기대를 모았다. . 2002년 10월에 예술의 전당 카다케스오케스트라 초청 내한 공연을 가졌으며 2003년엔  2004년엔 호암아트홀에서, '세계음악계의 주역들을 초청하는 ‘해외연주자 시리즈'에 필립 앙트르몽이 참여하였다.  그외 빈 체임버 오케스트라와도  내한 공연한적이  있다.

음원출처:향기로운 삶의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