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인들의 애송詩 100選 - 조선일보

삽 / 정진규<시인이 애송하는 詩 100선>-문태준

▲ 일러스트=잠산

 

삽 / 정진규

 

 

삽이란 발음이,

소리가 요즈음 들어 겁나게 좋다

삽,

땅을 여는 연장인데

왜 이토록 입술 얌전하게 다물어 소리를 거두어들이는 것일까

속내가 있다

삽,

거칠지가 않구나 좋구나 아주 잘 드는 소리,

그러면서도 한군데로 모아지는 소리,

한 자정(子正)에 네 속으로 그렇게 지나가는 소리가 난다

 

이 삽 한 자루로 너를 파고자 했다

내 무덤 하나 짓고자 했다 했으나 왜 아직도 여기인가

삽,

젖은 먼지 내 나는 내 곳간,

구석에 기대 서 있는 작달막한 삽 한 자루,

닦기는 내가 늘 빛나게 닦아서 녹슬지 않았다

오달지게 한번 써볼 작정이다

삽,

오늘도 나를 염(殮)하며 마른 볏짚으로 한나절 너를 문질렀다

 

 

 

 
 
 
 
<작품해설-문태준>
 

시인은 언어의 맨살을 만진다. 말과의 상면과 말의 '한 줄금 소나기'를 만나는 순간의 경이를 시인은 표현한다. 우리의 마음에서 세상에 대한 경이가 사라지는 일은 슬픈 일이다. 보고 듣고 냄새를 맡고 혀를 대보고 생각을 만드는 이 날것의 감각에서 소위 맛이 사라지면 살맛이 가실 것이니 이 세상은 얼마나 캄캄한 절망이겠는가. 이 세상을 다시 맞는 아침에는 당신도 "아, 세상이 맛있다!"라고 말해 보라. 애초에 생(生)에는 무력감이 없으므로.

시 '삽'에는 경이가 있다. 나도 '삽'을 발음해 본다. 입술이 모시조개처럼 예쁘게 모인다. 손으로 목화를 따들이는 느낌이 있다. 시인은 이 발성의 쾌감에 희열한다. 그리고 거기서 좀 더 들어간다. "젖은 먼지 내 나는 내 곳간"에 작달막한 삽 한 자루가 세워져 있는 것을 보여준다. 언젠가 제대로 한 번 써볼 생각으로 연일 '마른 볏짚으로' 문질러 놓아 녹슬지도 않았다. (나도 나의 아버지가 들일을 마친 해질 무렵에 마른 볏짚으로 삽날을 문지르는 것을 많이 보았다. 그 저녁 풍경의 숙연함이여!)

시인은 무슨 일에 이 삽을 사용하려 하는 것일까. 당신의 사랑을 얻을 때에 한 번 뜨고, 종국에 닥칠 나의 죽음을 내 스스로 거두어들일 때 한 번 뜨겠다고 한다. 생의 한 경이를 포착한 이 시가 참 좋은 이유는 시 전반부의 발성의 쾌감이 후반부의 비장함으로 진행되는 데에 있다. 비장하지만 마구 심각하지는 않다. 다가올 시간에 대한 기다림이 있기 때문이다. 이 또한 경이다. 경이가 없다면 기다림도 없을 것이므로. (연애에 경이가 사라지는 순간 우리의 애인들이 내일을 기다리지 않고 당장 모두 떠나가 버리는 것처럼)

시 전문지 월간 '현대시학'의 주간을 맡고 있는 정진규(69) 시인은 산문시의 성공적인 전형을 제시하고 있는 시인이다. 그의 산문시는 영혼을 한순간에 탁, 부려 놓는다. 그리하여 산문시 아닌 시들보다 오히려 더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어낸다. 시 쓰는 일을 비유하길 세상을 배알하는 일이라고 겸손하게 말하는 그는 올해로 칠순을 맞았다. 그의 시는 종심(從心)이되 어긋남이 없으니 무량무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