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26일에 찾은 불갑산은
추풍령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 나와 전라북도 남동부의 무주 진안을 거쳐 함평만에 이르는
노령산맥의 끝자락인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와
함평군 해보면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516m이고, 주봉은 연실봉이다.
원래는 산세가 완만하고 어머니의 품과 같다고 해서 母岳山으로 불리웠으나
백제 15대 침류왕 1년(384년) 인도승려 마라난타가 불교가 최초로 전래했다는 의미로
부처를 뜻하는 佛과 육십갑자의 甲을 딴 佛甲寺(불갑사)를 지으면서 불갑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불갑산엔 천연기념물 112호인 참식나무와 꽃무릇이 자라고 있다.
꽃무릇은 전북 고창선운사와 전남 함평의 용천사, 영광의 불갑사가 최대자생지다.
꽃무릇은 9월에 선홍색 꽃이 피고 꽃이 진후에 이파리가 나오는 여러해살이풀로,
잎과 꽃이 영원히 만나지 못한다고 해서 “이룰 수 없는 사랑”이라는 애절한 꽃말을 가지고 있단다.
전설에 의하면 스님이 절에 불공을 드리러 온 아낙을 짝사랑하다가 상사병에 걸려 죽었다는데...ㅎ
그 묘지위에 상사화가 피었다는...
산행은 모악리주차장-불갑사-덫고개-노적봉- 법성봉 -투구봉-장군봉-연실봉-해불암-꽃무릇자생지-불갑사제-불갑사로
이어지는 약 2시간30여분 코스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0_blog_2008_10_10_11_27_48eebd8217f9e?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4_blog_2008_10_09_14_02_48ed9058d2b3b?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3_blog_2008_10_09_14_13_48ed92e473f83?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2_blog_2008_10_09_14_15_48ed937a9fa60?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사 일주문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6_blog_2008_10_09_14_14_48ed9328758b7?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사 부도밭
浮屠(부도)는 고승의 사리를 담는 석조 탑이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4_blog_2008_10_09_13_37_48ed8aa1d75b7?x-content-disposition=inline)
백과사전을 찾아보면 꽃무릇은 석산(石蒜)으로 수선화과에 딸린 일본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이란다.
다음은 백과사전 전문 :
산기슭이나 습한 땅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절 근처에서 흔히 심는다. 꽃줄기의 높이는 약 30~50 센티미터이다.
잎은 길이 30~40 센티미터, 너비 1.5 센티미터 정도로 길쭉하며 10월에 나왔다가 다음해 5월에 사라진다.
잎이 떨어진 9월에 산형꽃차례에 붉은 꽃이 피는데, 꽃덮이(화피)는 여섯 조각으로 거꾸로 된, 얇은 바소꼴이고 뒤로 말린다.
수술은 6개이고 길이 7~8 센티미터로 꽃밖으로 나오며 암술은 한 개이다. 열매를 맺지 못하고 꽃은 쓰러지며 그 뒤에 잎이 나온다.
비늘줄기(인경)로 번식한다.
비늘줄기의 한약명이 석산(石蒜)이다. 해독 작용이 있다고 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6_blog_2008_10_09_13_37_48ed8a75ef05e?x-content-disposition=inline)
꽃무릇에 대한 詩
"무릇,사랑이란
가고오고
떠나고 남고
만나고 헤어지고
돌아서고 돌아오는 것이어서
기다림이 더 아름다운 사랑이여
기다림으로 마음 설레이는
꽃이여,꽃무릇이여"
- 정형택 시인의 "꽃무릇 예찬" 중 에서-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_blog_2008_10_09_13_36_48ed8a4a73384?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33_blog_2008_10_09_13_33_48ed89a9a18b8?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9_blog_2008_10_09_13_26_48ed87dd028e8?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7_blog_2008_10_09_13_27_48ed88143c628?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6_blog_2008_10_09_10_56_48ed64d499334?x-content-disposition=inline)
이번 산행 및 테마여행은 봉우리산악회를 따라 소담님, 울프님, 청산유수님, 쿠링님, 햇님님이 참여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9_blog_2008_10_09_10_56_48ed64d4cc76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6_blog_2008_10_10_12_11_48eec7f48f39c?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4_blog_2008_10_09_10_56_48ed64d52576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3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38fcbb?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9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3b6da8?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3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3dde94?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0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41bd03?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6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44be72?x-content-disposition=inline)
오른쪽 빨강모자쓰신분이 봉우리 산악회 회장이신 선여사님이시다.
지금의 미모로 보아 젊으셨을 땐 뭇남성의 가슴을 설레게 하셨을 법하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3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469edc?x-content-disposition=inline)
ㅎㅎㅎ 호랑이 굴에 들어가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2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4bd6eb?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4dedc1?x-content-disposition=inline)
호랑이가 엉덩이 물면 우얄라고...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3_blog_2008_10_09_10_59_48ed658517e15?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2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4d4a77?x-content-disposition=inline)
쿠링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9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50717c?x-content-disposition=inline)
햇님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2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52bdb5?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1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54e1c5?x-content-disposition=inline)
청산유수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56d1c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3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597967?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4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5cf006?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산에서 바라본 불갑사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60f19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5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649edc?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5_blog_2008_10_09_11_00_48ed65d6769de?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6_blog_2008_10_09_11_02_48ed661749b05?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9_blog_2008_10_09_11_21_48ed6a9b18cfc?x-content-disposition=inline)
암릉을 오르는 청산유수님... 그런데 어쩌나! 풀과 나무모습이 이상하네.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5_blog_2008_10_09_11_02_48ed66179f5f3?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4_blog_2008_10_09_11_02_48ed6617dc26e?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6_blog_2008_10_09_11_02_48ed661814afc?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4_blog_2008_10_09_11_02_48ed661850fb6?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2_blog_2008_10_09_11_02_48ed66187d02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8_blog_2008_10_09_11_02_48ed6618abca7?x-content-disposition=inline)
넓은 들을 지나 멀리 서해바다가 가물가물 보인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5_blog_2008_10_09_13_18_48ed862623fad?x-content-disposition=inline)
부처바위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3_blog_2008_10_09_13_24_48ed87832f2d0?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산에서 바라본 저수지 금산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6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8c7c51?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9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8eed3e?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4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91e924?x-content-disposition=inline)
소담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9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94d320?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5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97c10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7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9ae1b7?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9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9d27ac?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7_blog_2008_10_09_11_03_48ed668a11d8a?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산 암릉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_blog_2008_10_09_11_05_48ed66e100fa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8_blog_2008_10_09_13_40_48ed8b22c0c00?x-content-disposition=inline)
蓮實峰(연실봉)
함평방향에서 바라보면 불갑산 보우리가 연꽃의 열매와 같다고 붙여진 이름으로
蓮實이란 부처님의 말씀이 중생들의 마음에서 열매를 맺는다는 의미이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3_blog_2008_10_09_11_05_48ed66e1b0400?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4_blog_2008_10_09_11_05_48ed66e1ce467?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_blog_2008_10_09_11_05_48ed66e21c993?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산에서 해불암으로 내려오면 암자 아래의 산자락엔 꽃무릇이 지천으로 피어있다.
사진은 불갑제 상류에 있는 꽃무릇 군락지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1_blog_2008_10_09_10_56_48ed64d462c3e?x-content-disposition=inline)
詩를 찾아서 / 정희성
말이 곧 절이라는 뜻일까
말씀으로 절을 짓는다는 뜻일까
지금까지 시를 써 오면서
시가 무엇인지
시로써 무엇을 이룰지
깊이 생각해볼 틈도 가지지 못한 채
헤매어 여기까지 왔다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엔
절 없이 절터만 남아 있고
강원도 어성전 명주사에는
절은 있어도 시는 보이지 않았다
한여름 뜨락에 발돋움한 상사화
꽃대궁만 있고 잎은 보이지 않았다
한 줄기에 나서도
잎이 꽃을 만나지 못하고
꽃이 잎을 만나지 못한다는 상사화
아마도 시는 닿을 수 없는 그리움인 게라고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마음인 게라고
끝없이 저자 거리 걷고 있을 우바이
그 고운 사람을 생각했다
차라리 시를 가슴에 묻는다
발표 안 된 시 두 편만
가슴에 품고 있어도 나는 부자다
부자로 살고 싶어서
발표도 안 한다
시를 두 편 가지고 있는 동안은
어느 부자 부럽지 않지만
시를 털어버리고 나면
거지가 될 게 뻔하니
잡지사에서 청탁이 와도 안 주고
차라리 시를 가슴에 묻는다
거지는 나의 생리에 맞지 않으므로
나도 좀 잘 살고 싶으므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9_blog_2008_10_10_11_01_48eeb761d9c3d?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산에서 자생하는 천연기념물 112호 참식나무(퍼온 이미지)
전설에 의하면 삼국시대에 불갑사의 스님이 인도로 불법을 구하러 가서 수도정진하던 중 인도 공주와 사랑에 빠졌단다.
두사람의 사랑을 알게된 인도 국왕이 정운스님을 인도에서 떠나게 하였다.
정운스님과 이별을 슬퍼한 인도공주는 두사람이 사랑을 나누었던 곳의 나무열매를 따서 정운스님에게 주었고
스님이 그 열매를 가져와 불갑사에 심었는데
그나무가 참식나무가 되었단다.
참식나무가 자라는 北限地帶(북한지대)가 불갑산이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3_blog_2008_10_09_14_11_48ed928568d5d?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제
![](https://t1.daumcdn.net/blogfile/fs8/8_blog_2008_10_09_14_12_48ed92a029a67?x-content-disposition=inline)
불갑사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5_blog_2008_10_09_14_12_48ed92a049fc6?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8_blog_2008_10_09_14_12_48ed92a06055e?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1_blog_2008_10_09_14_12_48ed92a0837d5?x-content-disposition=inline)
보물 제830호 불갑사 대웅전
다음은 문화재청에서 불갑사 설명 전문 :
불갑사는 백제 침류왕 원년(384)에 인도승 마라난타가 세웠다는 설과
무왕 때 행은 스님이 세웠다는 설이 있으나 세운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석가모니 불상을 모셔 놓은 법당인 대웅전은 18세기 이전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데,
기와 가운데 ‘건륭 29년(乾隆二十九年)’이라고 쓴 것이 발견되어 조선 영조 40년(1764)에 고친 것으로 짐작한다.
그 뒤 융희 3년(1909)에 수리하였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지붕 위부분에서 작은 석탑과 보리수를 조각한 장식을 볼 수 있으며, 가운데 칸 좌우의 기둥 위에는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다.
또한 가운데 칸에 달린 문은 연꽃과 국화 모양으로 꾸며 뛰어난 창살 조각 솜씨를 엿보게 한다.
건물 안쪽의 모서리 공포 부분에도 용머리를 장식하고 있고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꾸몄다.
화려한 무늬와 조각을 새긴 조선 후기 목조 불전 건축으로 시대적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중요한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3_blog_2008_10_09_11_05_48ed66e24d329?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9_blog_2008_10_09_11_05_48ed66e29a7e1?x-content-disposition=inline)
법성포 굴비
![](https://t1.daumcdn.net/blogfile/fs8/7_blog_2008_10_09_13_41_48ed8b60a6597?x-content-disposition=inline)
옥천에서 오신 미녀(?)삼총사...ㅎ
좌측에 계신분이 국악을 취미로 하시는 분이다.
불갑사오는 차안에서 멋드러지게 한곡조 부르셨는데...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7_blog_2008_10_09_13_42_48ed8b96d9776?x-content-disposition=inline)
법성포에서 굴비와 소줏잔을 기울이며...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0_blog_2008_10_09_13_43_48ed8c03e6d2c?x-content-disposition=inline)
봉우리 산악회 여총무님.
얼굴이 붉게 물든 모습이 술탓일까? 아님 이른 단풍에 취하신겔까?ㅎㅎ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7_blog_2008_10_09_13_45_48ed8c54743a7?x-content-disposition=inline)
가족과 함께 굴비를 올린 식사를...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8/7_blog_2008_10_09_13_46_48ed8ca0044ce?x-content-disposition=inline)
숲쟁이 꽃동산과 불교최초 도래지가 인접해 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8_blog_2008_10_09_13_47_48ed8cf9d4e55?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31_blog_2008_10_09_13_48_48ed8d35eb990?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7_blog_2008_10_09_13_49_48ed8d62b1fba?x-content-disposition=inline)
숲쟁이 꽃동산에서...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3_blog_2008_10_09_13_52_48ed8e18c9de9?x-content-disposition=inline)
법성포 四面大佛(사면대불)
아미타불을 주존 불로 모시고, 관음세지보살을 좌우보처로,
그리고 마라난타존자가 부처님을 받들어 모시고 계신 모습을
다른 한 면에 배치한 사면불로서 약식 석굴사원 형식을 띤 독특한 형태의
간다라 양식 사면대불입니다.
*백제 불교성지*
영광군수로 3선을 역임하고 퇴임한 김봉열 당시 영광 군수 재임 시절,
이곳과 인접한 [숲쟁이] 공원화 사업과 더불어
영광군 7대 관광사업의 하나로 2006년 5월 조성된 백제 불교최초 도래지인 불교성지사업입니다.
부용루
신도들의 참배 및 관광객들이 법성포의 관문인 칠산 바다를 바라 볼 수 있도록
지은 2층누각입니다.
아래층 석벽에는 간다라 양식의 불전도 부조조각이 조각되어 있고
23면에 걸쳐, 부처님의 전생 인연담과 일대기가 조각되어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2_blog_2008_10_09_11_06_48ed6725d2043?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5_blog_2008_10_09_11_06_48ed67261a2bc?x-content-disposition=inline)
부용루 내부에 있는 부처님의 일대기와 전생인연담을 조각한 23면의 간다라양식의 부조조각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2_blog_2008_10_09_11_10_48ed68216a971?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2_blog_2008_10_09_13_55_48ed8ec2d5805?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5_blog_2008_10_09_11_10_48ed68218f347?x-content-disposition=inline)
간다라 지역의 사원 유구가운데 가장 잘 남아 있는
닥트히바히 사원의 주 탑 원을 본떠서 조성한 탑 원으로
마라난타 존자의 출신지인 간다라 사원 양식의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 주기 위해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_blog_2008_10_09_11_10_48ed682111bc7?x-content-disposition=inline)
유물전시관
대승불교의 본 고장인 간다라의 2세기에서 5세기 경 까지 의
불전도 부조 및 불상 등 진품 유물을 전시하여
간다라 불교문화 예술의 특징적 요소를 직접 관람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건축 양식도 간다라 건축 요소를 담아내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2_blog_2008_10_09_13_54_48ed8e8a9aeb9?x-content-disposition=inline)
만다라광장
![](https://t1.daumcdn.net/blogfile/fs8/35_blog_2008_10_09_13_53_48ed8e4e9ec17?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8_blog_2008_10_09_11_06_48ed672683a05?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8_blog_2008_10_09_11_06_48ed6726b33a4?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_blog_2008_10_09_11_12_48ed687929b2b?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3_blog_2008_10_09_11_12_48ed68794f4b2?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4_blog_2008_10_09_11_12_48ed687973e84?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5_blog_2008_10_09_11_08_48ed67ae9eddb?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4_blog_2008_10_09_11_08_48ed67aece38f?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4_blog_2008_10_09_11_08_48ed67af0355c?x-content-disposition=inline)
사진 - 쿠링님
Flying To The Moon - Utada Hika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