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회 백제문화제가 부여와 공주 논산일원에서
10월 3일부터 10월12일까지 펼쳐지고 있다.
울프님, 청산유수님, 태양님이 부여백제문화제와 부소산 역사탐방을 하기 위해 10월 5일 부여로 향했다.
여행을 떠날 땐 으레 기상청 홈피를 검색해보곤 하는데 오늘도 비를 예보하고 있었다.
오늘 행사 중에 백제역사행렬과 퍼레이드 교류왕국 대백제는
가장행렬을 하게 되므로 비가 내릴 경우
행사진행이 어려워 볼거리를 못보고 돌아오지 않을까 노심초사 했는데...
오후 들어 다행히 햇빛이 들었다.
부소산엔 참으로 오랜만에 다시 오르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
어릴 적에 봤던 부소산하고 중년의 나이에 돌아본 부소산의 느낌이 어떨까 하는 설레임이 있었다.ㅎ
백제는 기원전 18년 고구려유민들이 건국하여 660년 동안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며 일본과 중국 그리도 동남아까지 세력을 뻗친 강대국으로 성장했지만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백제 의자왕의 예에서 그러하듯이 승자에 의해 역사가 써지므로
정치질서의 문란 그리고 향락이라는 덫을 씌워 신라의 백제 점령을 정당화 했다고 나는 생각한다.
실제로 의자왕이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비롯한 40여개의 성을 빼앗아
국가존망의 위기를 느낀 신라가 당나라와 군사동맹을 맺고 백제를 공격하고 있다.
백제의 의자왕이 실정을 하였다면 신망을 잃은 국가를 위해 백성들이 왜 백제부흥운동을 하였겠는가?
백제멸망 후 복신 흑치상지 도침 등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4년 동안 나당연합군에 저항을 한 것으로 봐도 이를 짐작케 한다.
삽입곡으로 허민이 부른 “백마강”을 택했다.
노래가 정말 슬프다. 백제의 슬픈 역사만큼...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8_blog_2008_10_07_09_53_48eab2e9dda1c?x-content-disposition=inline)
*부여 여행안내도*
디카 모드를 잘못선택해서 인물사진이 좀 그렇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34_blog_2008_10_07_09_53_48eab2f7e7a92?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6_blog_2008_10_07_09_53_48eab2f815f0a?x-content-disposition=inline)
부소산입구 "사비문"
![](https://t1.daumcdn.net/blogfile/fs8/24_blog_2008_10_07_09_53_48eab2f837dff?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34_blog_2008_10_07_09_53_48eab2f863544?x-content-disposition=inline)
오래전에 이부근에 부여박물관이 있던 자리였는데 박물관이 동남리로 옮겨졌다.
백제시대의 우물터... 음용할 수 없단다. 두레박을 올리려 애쓰는 아이의 모습이 정겹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8/31_blog_2008_10_07_09_53_48eab2f887b42?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3_blog_2008_10_07_09_53_48eab2f8ae07a?x-content-disposition=inline)
흥수좌평, 성충좌평, 계백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
![](https://t1.daumcdn.net/blogfile/fs8/16_blog_2008_10_07_09_54_48eab336c207c?x-content-disposition=inline)
영일루로 향하면서 청산유수님, 태양님, 울프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4_blog_2008_10_07_10_34_48eabc9c9f9df?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4_blog_2008_10_07_10_34_48eabc9cbe9f3?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6_blog_2008_10_07_10_34_48eabc9cd60e4?x-content-disposition=inline)
영일루에서 한산소곡주와 도토리묵을 놓고 둘러앉았다.
울프님이 가져오신 소곡주 맛이 일품이다. 도토리묵은 에드몽표...ㅎㅎ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4_blog_2008_10_07_10_34_48eabc9d0128d?x-content-disposition=inline)
迎日樓(영일루)
부여에 있는 부소산 동쪽 봉우리에 자리잡고 있는 누각으로,
이곳에서 보면 멀리 공주 계룡산의 연천봉이 아득히 바라다 보인다.
원래 이곳에는 영일대가 있어서 계룡산 연천봉에서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던 곳이라고 전한다.
이 건물은 고종 8년(1871)에 당시 홍산 군수였던 정몽화가 지은 조선시대의 관아문이다.
1964년에 지금 있는 자리인 부소산성 안으로 옮겨 세운 뒤,
집홍정이라는 건물의 이름을 영일루라고 고쳐 불렀다.
영일루는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 건물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건물 정면에는 ‘영일루’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다른 관아문에 비해 그 규모가 비교적 큰 것이 특징이다.
이 영일루가 있는 이곳은 부소산(扶蘇山)의 동쪽 산봉우리에 해당된다.
원래 이곳에는 영일대(迎日臺)가 있어서 계룡산(鷄龍山)의 연천봉(連天峰)에서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던 곳이라 전한다. 지금의 건물은 1964년 5월 홍산(鴻山)에 있던 조선시대(朝鮮時代)의 관아문(官衙門)을 옮겨 세우고,
이름을 영일루라 한 것이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2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2b567a?x-content-disposition=inline)
軍倉址(군창지)
백제 때 군대에서 쓸 식량을 비축해 두었던 창고터로 부소산 동쪽에 있는 부소산성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
군창지는 1915년 땅 속에서 불에 탄 곡식이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1981년과 1982년 두 차례에 걸친 발굴조사로 건물터의 규모를 자세히 밝혀냈다. 백제 때부터 자리잡은 이곳 군창지를 조선시대에도 다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운데에 공간을 두고 동·서·남·북으로 건물을 배치하여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중딩시절 동네 선배님들과 이곳을 찾았을 때...
군창터라고 이곳의 흙을 파내면 백제시대에 불에 탓던 군량미가 나온다고 해서
나무가지를 주워 실제로 땅을 파보았었는데...
지금 기억으로 탄화된 쌀알이 나왔었다.
누가 가져다 이곳에 묻어 놓았는지 모르지만...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2d0fd4?x-content-disposition=inline)
청산유수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3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2e8e98?x-content-disposition=inline)
부소산 오솔길
보도블럭으로 포장해놓은 탐방로옆에 오솔길이 조성되어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35919c?x-content-disposition=inline)
부소산 입구에서 자라는 소나무는 왜송일색이었는데 이곳에 자라는 소나무는 순수한 우리 혈통이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1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37f2e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9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3ac961?x-content-disposition=inline)
참나무 등컬(등걸)에서 자라고 있는 버섯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9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3d1ef5?x-content-disposition=inline)
단풍이 물드는 가을에 다시 찾고 싶은 곳이다. 오솔길이 참으로 정겹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4_blog_2008_10_07_09_57_48eab3f42f53b?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5_blog_2008_10_07_10_00_48eab4a752900?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4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008f0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34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025fc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26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04d497?x-content-disposition=inline)
半月樓(반월루)
부소산성의 테메식 산성의 포곡식 산성이 만나는 등성이에 1972년 지은 2층 누각으로 현재 부여의 시가지와 부여를 감싸며
유유히 흐르는 백마강 ,부산의 대제각,규암진 수북정이 아련하게 들어와 부여가 반월성이라 불리는 이유를 알수있는 곳이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30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07782e?x-content-disposition=inline)
반월루 현판은 이곳출신 정치인 김종필씨가 썼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6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09c5e8?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26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0c4a5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15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101528?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3/12_blog_2008_10_07_10_23_48eaba212d42e?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9_blog_2008_10_07_10_38_48eabd9659be2?x-content-disposition=inline)
반월루에서 바라본 구뜨레와 부산 그리고 규암...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5_blog_2008_10_07_10_00_48eab4a76fdb1?x-content-disposition=inline)
궁녀사로 향하는 탐방로...
전설에 의하면 아이가 없어 걱정하는 분들이 궁녀사주변에서 운우지정을 나누면 아이가 들어선다는 얘기가 있다.
오래전엔 그 전설을 믿고 거사를 치루는 일이 종종 목격되기도 했다는데...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0_blog_2008_10_07_10_00_48eab4a7c0a81?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3_blog_2008_10_07_10_00_48eab4a7dc7c0?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9_blog_2008_10_07_10_00_48eab4a8328e0?x-content-disposition=inline)
삼천궁녀의 넋을 기리기 위해 지은 궁녀사의 궁녀 영정앞에 청산유수님이 향을 사르고 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8_blog_2008_10_07_10_00_48eab4a877648?x-content-disposition=inline)
퇴계 이황의 후손인 청산유수님...
피는 못속이는 일이다. 생활에서도 유학이 몸에 베인 그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_blog_2008_10_07_10_00_48eab4a8c487f?x-content-disposition=inline)
宮女祠(궁녀사)
삼천궁녀의 영정을 모신 궁녀사당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9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3af62a?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5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3c80a4?x-content-disposition=inline)
부소산의 야생화 - 쑥부쟁이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6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3e4d85?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1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40b8f0?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4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4285c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9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479297?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1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4a51a1?x-content-disposition=inline)
泗비樓(사자루)
부여 부소산성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누각으로,
이곳은 달구경을 했다는 송월대가 있던 자리이다.
조선 순조 24년(1824)에 군수 심노승이 세운 것으로,
조선시대 임천의 관아 정문이었던 배산루를 1919년에 이곳으로 옮겨 짓고는 사비루라 이름하였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으로 사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오른편 북쪽 칸에는 2층으로 오르는 계단을 만들었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건물 앞면에는 조선 후기 의친왕 이강이 쓴 ‘사비루’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백마강 쪽으로는 ‘백마장강’이라는 현판이 함께 걸려 있다.
사비루는 사방이 트여있는 높은 곳에 있어 부여의 주변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좋은 누각이다.
건물을 옮겨 세우기 위해 땅을 고를 때 ‘정지원’이라는 이름을 새긴
백제시대 금동 석가여래 입상이 발견되어 더욱 주목받는 장소이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31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4c9f65?x-content-disposition=inline)
현판은 조선시대 의친왕 李 堈이 썼다.
일제시대에 의친왕이 公으로 격하된 치욕적인 현판을 지방문화제로 지정하여
우리민족 굴종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일왕에 의해 책봉된 의친왕의 이강公이 쓴 현판의 보존논란이 일고 있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1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500c8e?x-content-disposition=inline)
백제의 역사처럼 쓰라린 아픈상처을 가진 나무
상처 - 박두순
나무줄기를 따라가 보면
상처 없는 나무가 없다
그렇지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눈보라에 시달리지 않은 나무가
어디 있겠는가
흔들린 맘큼
시달린 만큼
높이와 깊이를 가지는 상처
상처를 믿고
맘놓고 새들이 집을 짓는다
상처를 믿고
꽃들이 밝게 마을을 이룬다
큰 상처일 수록
큰 안식처가 된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2/29_blog_2008_10_07_10_03_48eab54556391?x-content-disposition=inline)
백마강을 사진기에 담고 있는 여인...
뒷태가 이쁘다.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871a70?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2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88d000?x-content-disposition=inline)
사자루에서 백화정으로 가는 탐방로...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8a71d0?x-content-disposition=inline)
百花亭(백화정)
백제 멸망 당시 절벽에서 떨어져 죽었다는 궁녀들의 원혼을 추모하기 위해 1929년에 지은 정자이다.
‘백화정’이란 이름은 중국의 시인인 소동파의 시에서 따온 것이다.
부소산성 북쪽 백마강변의 험준한 바위 위에 자리잡고 있다.
건물 구조는 육각형 평면을 가진 육모지붕으로 꾸몄다.
마루 바닥 주변에는 간단한 난간을 설치하였고, 천장에는 여러가지 연꽃무늬를 그려 놓았다.
송나라 시인 소동파(蘇東坡)가 혜주(惠州)로 유배되었던 시절에
서호(西湖)를 보고 江錦水樹百花州(강금수사백화주)라고 지은 詩에서 따온 것이란다.
사진속의 인물은 울프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8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8c13b8?x-content-disposition=inline)
낙화암 천년송 - 작가미상
남부여국 사비성에 뿌리내렸네
칠백년 백제역사 오롯이 숨쉬는 곳
낙화암 절벽위에 떨어져 움튼 생명
비바람 눈서리 다 머금고
백마강 너와 함께 천년을 보냈구나
세월도 잊은 그 빛깔 늘 푸르름은
님 향한 일편단심 궁녀들의 혼이런가
백화정 찾은 길손 천년송 그마음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1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8e1f17?x-content-disposition=inline)
청산유수님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3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916d06?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5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944b50?x-content-disposition=inline)
백마강 유람선 황포돗배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5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9992b2?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7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9c6544?x-content-disposition=inline)
백화정에서 바라본 백마강(상류쪽)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2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9eca7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29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a2a504?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6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a57b7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0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a6fe1d?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1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a9ad87?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9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ad2424?x-content-disposition=inline)
낙화암에서 만난 아이와 함께...ㅎ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6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b0c02e?x-content-disposition=inline)
디카 배터리 생명이 여기까지다...ㅠ.. 문화제 행사 사진을 올리지 못한점이 못내 아쉽다.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34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b3544b?x-content-disposition=inline)
![](https://t1.daumcdn.net/blogfile/fs11/13_blog_2008_10_07_10_11_48eab74b5770f?x-content-disposition=inline)
백마강 - 허민 백마강에 고요한 달밤아
고란사에 종소리가
들리어오면 구곡간장 찢어지는
백제꿈이 그립구나 아~ 달빛 어린 낙화암의
그늘 속에서 불러보자 삼천궁녀를
백마강에 고요한 달밤아
철갑옷에 맺은 이별 목메어울면 계백장군 삼척님은
님사랑도 끊었구나 아~ 오천결사 피를 흘린
황산벌에서 불러보자
삼천궁녀를...
|